Asan Plenum

세션: 세션 1 / 그랜드 볼룸 I
시간: 2013년 4월 30일 / 12:30-13:45
사회: 조셉 스턴버그, 월스트리트저널아시아
패널: 모종린, 아산정책연구원, 연세대학교
제니퍼 오, 이화여자대학교
나탈리아 소바호, 인도네시아대학교
양쉐동, 중국비교경제학및정치센터

패널 개요
2008년도 글로벌 금융위기는 “미국적” 자본주의의 근본적 한계를 드러냈다. 미국 자본주의에 대한 대안으로 중국식 자본주의, 인도 및 브라질의 민주적 개발 중심 자본주의, 독일, 프랑스 및 북구 식의 유럽 자본주의, 싱가포르의 기업중심적 소규모시장 자본주의 등 다양한 모델이 떠오르고 있다. 아시아에서는 이런 새로운 자본주의 모델의 장점을 연구하고 있다. 1997년의 아시아 금융위기는 많은 아시아 국가에서 정부의 개혁을 진행시키는 촉매제로 작용했다. 마찬가지로 이번 위기는 아시아 정부들이 좀 더 투명하고, 효율적이며 책임성 있는 정부로 전환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그러나, 과연 아시아 국가들은 – 아시아 금융위기 때처럼 – 경제 개혁을 단행할까, 아니면 반(反)경쟁주의와 포퓰리즘을 채택하여 결과적으로 자유 무역의 혜택을 저해할 것인가?

[질문]

  1. 1. 1997년과 2008년의 금융위기를 비교할 때 동아시아 정부들이 대처 방식에 어떻게 다른가?
  2. 2. 2008년도 금융위기는 동아시아에서 시장 자본주의 경제에 대한 정치적 담론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특히, 시장주의를 지지하던 지식인과 정치인들의 담론이 어떻게 달라지고 있는가?
  3. 3. 글로벌 금융 위기는 동아시아 자본주의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과거의 개발국가 모델, 자유시장 경제 모델, 아니면 대안적 자본주의 중 어느 것이 힘을 얻고 있는가?